본문 바로가기

역사와 유래 이야기

사림제도와 유래, 조선시대 사림의 학자들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

사림제도와 유래 알아보고 사림의 기원과 학자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림파는 고려 말기에 등장한 신흥사대부 중 온건개혁파에 해당하는 정몽주, 길재의 학통을 이어받은 사람들로, 연산군 시기부터 중앙정계에 진출하였습니다. 이후 선조 즉위 후에는 정권을 장악하였으며, 향촌 자치와 왕도정치 구현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1. 사림제도란?

 
사림 제도는 조선 시대에 지방 사족들이 중앙 정치에 참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조선 초기에는 중앙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사림들이 성장하면서 중앙 정치에 참여하는 기회가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사림파(士林派)는 조선 초기 훈구파에 대립하던 세력으로 지방 중소지주 출신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들은 성리학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16세기 후반 붕당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사림파도 분열되어 강경파와 온건파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강경파였던 동인은 정여립 모반사건을 계기로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었으며, 온건파였던 서인은 인조반정을 통해 집권하면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었습니다.

이후에도 사림파는 지속적으로 중앙정계에서 활동하였으나, 당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국난을 초래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도 성리학의 발전과 보급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한국의 서원

 
 

2. 사림의 뜻

 
사림(士林)은 한자어로 선비 "사" 자와 숲 "림" 자를 사용합니다. '사림'은 말 그대로 '선비들의 집단'을 가리키며, 전근대 문무 관원과 유생을 포함한 지배층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중국사에서 '사림'이라는 단어는 고대의 순 임금이나 주나라의 무왕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전국시대와 동한을 거쳐 명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한국사에서는 고려 중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해 조선 성종, 연산군 때 이후 자주 사용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고려 후기 성리학이 도입되면서 지배층의 사상적 인식이 깊어진 것과 관련이 있으며, 조선 성종, 연산군 때부터는 사화, 동서 분당, 기축옥사, 예송논쟁, 환국 등 지배층 사이의 정치적 충돌이 전개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3. 사림파의 기원


사림은 고려 후기에 등장한 신진 사대부 세력 중 정몽주 중심의 온건 개량파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들은 조선 성종 때에 이르러 중앙 정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사림은 성리학에 입각한 국가 운영을 주장하였으며, 교육을 중시하여 유학자들이 사재를 털어 서당이나 서재라 불리는 사립학교를 세워 지방에서 후진을 양성하였습니다.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설립한 사립학교에 선배 유학자들을 배향하는 사당의 기능을 추가하여 서원을 건립하였습니다. 

신진사대부는 고려 후기에 등장한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고려의 기존 정치 세력인 권문세족에 반대하여 등장하였습니다. 신진사대부는 주로 지방에서 성장한 학자들로, 성리학을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적 개혁을 주장하였습니다.

신진사대부는 고려 말기의 지배 계층으로, 이성계가 고려의 권력을 사실상 장악하게 되는 위화도 회군 이후에 1388년 음력 6월 3일부터 1393년 음력 2월 15일까지 주도권을 잡았습니다.

고려의 관료층인 사대부는 1351년 공민왕 즉위 이후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1356년 병신정변 이후에는 더욱더 활발히 정계에 진출하였습니다. 향리 출신 사대부는 재향 지주(在鄕地主)이기도 하였으며, 지방 중소 지주인 그들은 학문적인 교양을 바탕으로 과거를 거쳐 중앙 정치무대로 진출하였습니다. 

권문세족은 우왕 때부터 세력이 약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위화도 회군 이후 반원 성격인 신진 사대부에게 주도권을 빼앗겼고, 창왕이 폐위되자 소멸하였습니다. 1389년 창왕 폐위 이후 새 왕조 건국에 대해 입장이 갈리면서 온건파 사대부와 급진파 사대부로 분열되었습니다. 
 
온건파 사대부는 고려 왕조를 유지하자는 입장이었고 급진파 사대부는 새 왕조를 세워야 한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온건파 사대부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정몽주, 길재 등이 있으며 급진파 사대부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정도전이 있습니다. 

조선이 세워진 후, 급진파 사대부는 조선의 새로운 기득권이 되어 중앙 정계를 독점하는 훈구파가 되었습니다. 반면에 온건파 사대부는 지방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주력하며, 후에 사림파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4.. 사림이 추구하는 것은?


사림은 조선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운동으로,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의 사대부들이 중심이 되어 중앙 정치에 참여하고, 지방 사회의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사림이 추구하는 것은 주로 지방 사회의 발전, 교육의 발전, 그리고 유교적 가치관의 강조 등입니다.

사림은 인간의 도덕적 가치와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고,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왕도정치를 추구합니다. 또한, 사림은 왕도정치를 통해 국가의 안정과 발전을 추구합니다.

이는 사림이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성리학에서는 개인의 인격 수양과 함께 국가의 경영도 도덕적이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사림은 왕도정치를 통해 이상적인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림이 추구하는 왕도정치가 완전히 실현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부 사림은 현실적인 문제를 무시하고 지나치게 이상적인 왕도정치를 추구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림은 조선 시대의 정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조선의 정치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사림은 언론과 학문을 존중하며, 지주 전호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사림이 지주전호제를 추구하는 이유는, 토지를 소유한 사림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경제적안정과 신분적 지위를 강화하며, 지주전호제를 통해 사림은 향촌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사림은 성리학의 목표인 수기치인(나 자신을 올바르게 닦고, 다른 사람을 다스린다)을 위해 소학과 대학을 가장 중시하였습니다. 
 

 

 

 

 

 

 


<성리학>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도덕적 행동과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도덕적 행동을 '인(仁)'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인은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도덕적 가치이며,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사회적 관계를 '예(禮)'라는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예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규제하는 규칙이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존중하고 예의를 지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리학에서는 수기치인(修己治人), 인(仁), 의(義), 예(禮), 충(忠), 효(孝) 등의 개념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인격 수양과 함께 국가의 경영도 도덕적이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성리학은 중국 송대에 들어와 공자와 맹자의 유교사상을 ‘성리(性理)·의리(義理)·이기(理氣)’ 등의 형이상학 체계로 해석한 것으로, 이를 집대성한 주자(주희)의 이름을 따서 주자학(주희)이라고도 합니다.


 

 

 

 

 

 

5. 사림의 학자들

 
사림의 초기 학자는 고려 말기에 등장한 신흥사대부 중 온건개혁파에 해당하는 정몽주, 길재 등이 있습니다.
 
정몽주(1338~1392)와 길재(1353~1419)는 고려 말기에 활동한 인물로,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고 고려의 전통을 유지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들은 성리학을 연구하고 전파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정몽주(鄭夢周)는 고려시대에 활동한 문하시중(文臣士中)이자 학자로, 중앙서원에서 교육을 받았고, 정치,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인물입니다.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반까지 활동하였으며,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를 이어받는 시기에 활동하였습니다. 유학을 통해 양명학(陽明學)을 배웠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려시대의 정치와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과 견해를 제시하였습니다. 그는 유학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국가 발전과 인재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현실적인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동시에 도덕적인 가치와 인간성을 강조하는 유익한 글을 남겼습니다. 저서로는 "개관집요(開關集要)", "유학개론(儒學開蒙)", "성리학문(性理學問)" 등이 있으며 이들 저작은 고려시대의 사상과 유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길재(吉再)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로 1387년 성균학정이 되었다가, 1388년에 순유박사를 거쳐 성균박사를 지냈습니다. 조선이 건국된 뒤 1400년(정종 2)에 이방원이 태상박사에 임명하였으나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는 뜻을 말하며 거절하였습니다.

1363년 냉산(冷山) 도리사(桃李寺)에서 처음 글을 배웠으며, 1370년 박분(朴賁)에게 《논어》 《맹자》를 배우면서 성리학을 접하였고 관료로 있던 아버지를 만나러 개경에 갔다가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 권근(權近) 등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습니다.
 

김숙자 1389년∼1456년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이자 사림파의 시조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이색, 정몽주, 길재의 학통을 이어받아 사림파의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김종직 1431년∼1492년
김숙자의 아들로,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사림파의 영수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이언적 1491년∼1553년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주리론을 주장하며 조선 성리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황 1501년∼1570년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주리론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조식 1501년∼1572년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실천적 유학을 강조하며 사림파의 정신적 지주로 활약하였습니다.

이이 1536년∼1584년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주기론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기대승 1527년∼1572년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이황과 함께 주리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김인후 1510년∼1560년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조식과 함께 호남 지역의 사림을 이끌었습니다. 
 
류성룡 1542년∼1607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을 추천하여 나라를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정철 1536년∼1593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가사 문학의 대가로 꼽힙니다.

위의 인물들은 모두 성리학을 전공한 사림으로서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6. 사림과 서원

 
사림과 서원은 조선시대의 정치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친 두 가지 요소입니다. 사림은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으로, 중앙 정치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하기 위해 서원을 설립하고,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가치관을 전파했습니다. 서원은 사림의 활동을 지원하고, 그들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사림은 조선 건국에 협력하지 않고 향촌에서 성리학을 연구하던 학자들을 계승한 사람들로, 이들은 향촌 자치와 왕도 정치를 추구하고, 정치 운영에서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강조하였습니다. 

성종은 훈구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 세력을 대거 등용하였으며, 사림 세력은 중앙 정치에 진출하면서 훈구 세력의 권력 독점과 비리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이에 사림 세력과 훈구 세력 간의 정치적 대립과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사화의 발생으로 사림 세력은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사림은 지방 향촌에서 꾸준히 세력을 키워갔으며, 지방 곳곳에 서원을 세워 덕망 높은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성리학 연구하며 지방 양반 자제 교육에 매진하였습니다. 

서원은 사림의 향촌 자치 기구로서 역할을 하였으며, 성리학의 이념을 보급하고 정치 여론을 모으는 등 사림 세력의 확대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향약의 보급에도 큰 역할을 하여 사림 세력은 향촌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유리의 원료, 종류, 용도, 제조 과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유리의 원료, 종류, 용도, 제조 과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리는 비결정질 고체로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물질입니다. 주로 실리카(이산화 규소, SiO2)를 주성분으로 하

easyro.tistory.com

 

 

호미의 기능과 유래, 호미가 짧은 이유 알아보기-한국의 농기구

호미의 유래와 호미가 짧은 이유를 알아보고, 호미의 기능과 농사와의 관계 및 한국의 농기구가 인기 있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호미의 유래와 한국의 농기구  호미는 한반도에서

easyro.tistory.com

 

 

막걸리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막걸리의 유래와 역사 알아보기

막걸리의 유래와 역사를 알아보고, 탁주, 청주, 동동주의 다른 점, 막걸리 성분 및 효능, 먹는 법, 부작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막걸리란 무엇인가요? 막걸리는 한국의 전통적인 술 중 하나

easyr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