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와 유래

근정전의 기능, 건축 특징, 어좌, 일월오봉도의 유래 알아보기

반응형

 

조선왕의 집무실 근정전의 기능, 건축 특징, 어좌, 일월오봉도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은 조선시대 왕권과 국가의 중심을 상징하는 건물로, 경복궁의 정전(正殿)입니다. 국가의 주요 의식과 공식적인 행사가 이루어지던 곳으로, 조선왕조의 정치적·문화적 위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근정전이란?

"근정(勤政)"은 부지런히 정사를 돌본다는 의미로, 군주의 정치적 책무를 상징합니다. 조선 왕조의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군왕이 성실히 국정을 돌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근정전은 조선 초기부터 역대 국왕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하던 곳으로, 1395년(태조 4)에 지은 것은 임진왜란 때 불타고, 현재의 것은 조선 말기인 1867년(고종 4) 11월에 흥선대원군이 중건(重建)한 것입니다. 다포 양식(多包樣式)의 건물로, 현존하는 최대의 목조건물입니다. 

이성석축기단(二成石築基壇) 위에 세워졌으며 정면 5칸(30m), 측면 5칸(21m)의 중층 팔작지붕의 큰 직사각형 건물입니다.
 
기단의 4면은 석란(石欄)으로 두르고,... 두공(枓)은 상·하층이 외삼출목(外三出目), 내사출목(內四出目)이며 내출목에서는 수설(垂舌)이나 앙설(仰舌)이 구름무늬처럼 새겨진 운궁(雲宮)으로 되었고, 살미[山彌] 표면의 초화각무늬[草花刻文]나 단청(丹靑)·금색쌍룡(金色雙龍)과 조화되어 화려한 장식적 효과를 냅니다.
 

근정전 입구

 
 
전체적으로 장식적 의장(意匠)을 마음껏 담고 있어, 다소 과식(過飾)의 감이 있기는 하나 조선 말기 건축의 정수라 할 수 있고, 당시 건축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표본적 건물입니다.
 
 
1. 위치

경복궁의 중심에 위치하며, 정문인 광화문에서 내부로 들어오면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정문(광화문) → 근정문 → 근정전 순으로 배치.


2. 구조와 형태

목조 건축물로, 정면 5칸, 측면 5칸의 이층 건물.

팔작지붕(기와지붕의 일종) 형태로 웅장하고 균형 잡힌 조화를 이룸.

건물 내부는 왕의 자리인 어좌(御座)가 중앙에 위치하며, 뒤에는 일월오봉도(해와 달, 다섯 개의 산을 그린 병풍)가 배치되어 왕의 권위를 상징.


3. 월대

근정전 앞에는 돌로 만든 계단식 기단인 월대(月臺)가 있습니다.

월대는 국왕과 신하 간의 위계를 상징하며, 의식 공간을 구분짓는 역할을 했습니다.


4. 천장 장식

천장에는 조선 왕조를 상징하는 용 조각이 새겨져 있어 왕권의 상징성을 강조합니다.
 

 
 

근정전의 기능과 역할


1. 국왕 즉위식 및 대례

왕이 즉위할 때나 외국 사신을 맞이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국왕의 권위를 천명하고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선포하던 장소입니다.



2. 신하들과의 조회

매일 아침 조회(조참)를 열어 국정을 논의.
정기적으로 왕과 신하가 모이는 의례(국초조회, 중조조회 등)가 진행되었습니다.



3. 국가적 의식

왕세자 책봉, 군주의 대관식, 외국 사절 접견 등 국가의 주요 의식이 이루어졌습니다.


 

 
 

근정전의 역사적 가치

 

1. 임진왜란 이후 복원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1867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재건되었습니다.



2. 문화재 지정
근정전은 현재 대한민국의 국보 제22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3. 역사적 상징성
왕권의 상징이자 국가의 중심지로, 조선시대의 정치적 위상을 나타내는 장소입니다.



4. 현재의 근정전
현재 근정전은 경복궁의 주요 관광 명소로, 국내외 관람객들이 찾는 대표적인 역사적 장소입니다.
복원된 상태로 당시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근정전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조선 왕조의 정치와 문화, 예술적 성취를 대표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좌


어좌, 일월오봉도란?

 

경복궁 근정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어좌, 일월오봉도, 월대, 천장 조각은 각각 왕권과 유교적 통치 이념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들은 조선왕조의 철학과 정치체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물들입니다.


1. 어좌(御座)

의미:

어좌는 왕이 앉는 자리로, 국왕의 권위와 통치의 중심을 상징합니다.
조선시대의 어좌는 단순한 의자가 아니라, 왕의 신성한 지위를 나타내는 특별한 위치였습니다.


특징:

어좌는 근정전 내부 정중앙에 배치되며, 그 뒤로는 일월오봉도가 놓여 왕을 둘러싼 세계를 형상화합니다.
왕은 이 자리에서 조회(조정의 회의)를 주재하며, 신하들과 국사를 논의하고 외교적 행사를 주관했습니다.


상징성:

어좌는 왕이 천명(하늘의 명령)을 받아 나라를 다스리는 존재임을 시각적으로 강조합니다.
군주와 백성 사이의 질서와 유교적 위계 구조를 나타냅니다.

 
 

 




2.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의미:

왕의 어좌 뒤에 배치된 병풍 그림으로, 해(日)와 달(月), 다섯 개의 산(五峯), 소나무와 폭포, 물결이 그려져 있습니다.
우주와 자연을 상징하며, 왕이 하늘의 명을 받아 천하를 다스린다는 유교적 통치 이념을 담고 있습니다.


구성 요소의 상징성:

1. 해와 달:

해는 왕의 양(陽)적인 면(빛과 권위), 달은 음(陰)적인 면(조화와 안정)을 나타냅니다.
음양의 조화를 통해 왕의 통치가 자연 질서에 부합함을 상징합니다.



2. 다섯 개의 산(오봉):

다섯 개의 산은 자연의 중심이며, 왕의 통치가 세상을 포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산은 견고함과 안정성, 왕국의 영원한 지속을 상징합니다.



3. 소나무와 폭포:

소나무는 장수와 변함없는 충성을, 폭포는 왕의 은혜가 백성에게 흘러내림을 뜻합니다.



4. 물결:

왕의 은혜와 통치가 세상 구석구석까지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일월오봉도





3. 월대(月臺)

의미:

월대는 근정전 앞에 설치된 넓은 석조 기단으로, 의식을 행할 때 왕과 신하들의 위치를 나누는 상징적인 구조물입니다.
신분과 위계질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공간입니다.

특징:

월대는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교한 석조 난간과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난간에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이 새겨져, 왕과 왕실을 보호하고 하늘의 가호를 상징합니다.

상징성:

높이:
월대 위의 근정전은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왕이 백성을 내려다보는 통치의 위엄을 나타냅니다.

왕과 신하의 구분:
왕이 월대 위에 서고 신하들은 월대 아래에 서며, 엄격한 위계 질서를 보여줍니다.



4. 천장 조각

의미:

근정전 천장에는 화려한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용(龍)입니다.
용은 전통적으로 왕의 상징으로, 왕이 하늘(천명)과 연결된 존재임을 나타냅니다.

특징:

천장 중앙에는 입체적으로 조각된 쌍룡(雙龍)이 있으며, 그 주변으로는 꽃무늬와 구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용은 여의주를 물거나 향해 달려드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하늘과 땅의 조화를 상징합니다.

상징성:

용:
용은 권위와 신성, 왕권의 절대성을 상징합니다.
두 마리 용은 왕과 하늘의 연결을 강조하며, 통치의 정당성을 나타냅니다.


여의주:
용이 물고 있는 여의주는 왕권의 정통성과 지혜를 상징합니다.


구름과 꽃:
왕국의 풍요로움과 번영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조선왕조가 강조한 유교적 통치 철학과 왕권의 신성함, 그리고 자연과 조화로운 통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건축적·예술적 구성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근정전과 경복궁의 조화

 
근정전이 경복궁 내에서 건축학적으로 위치하는 장소는 조선 왕조의 정치 철학과 권력 체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경복궁은 유교적 세계관과 풍수지리 사상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근정전의 위치는 궁궐 전체의 조화와 왕권 중심의 질서를 표현합니다.
 
 
1. 건축학적 의미

경복궁의 중심부에 배치: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에서 중앙 축을 따라 안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는 왕을 중심으로 한 국가의 질서를 상징하며, 궁궐의 중심 공간으로 기능합니다.

앞은 광화문, 뒤는 강녕전:
근정전은 행정과 공식 업무를 처리하는 공간으로, 그 뒤에는 왕의 생활 공간인 강녕전(康寧殿)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공적 공간(근정전)과 사적 공간(강녕전)의 구분을 통해 유교적 질서를 반영합니다.

산과 물의 배치:
경복궁의 북쪽에는 북악산(백악산)이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광화문과 한양의 도심이 연결됩니다.
근정전은 북악산의 기운을 받으며, 앞쪽으로는 넓은 정원과 경외공간이 펼쳐져 있어 왕권의 안정과 국가 번영을 상징합니다.
 

2. 유교적 세계관과 위치의 상징성

조선 왕조는 유교의 예학(禮學)에 따라 건축물을 배치하였으며, 근정전의 위치는 이러한 원칙을 충실히 따르고 있습니다.

천자 중심의 세계관
왕(천자)은 백성을 다스리는 하늘의 대리인으로, 근정전은 왕권의 중심지를 나타냅니다.
근정전이 궁궐의 중앙 축선에 위치한 것은 조화와 질서를 강조하는 유교 사상의 반영입니다.

중앙의 의미
중앙은 중용(中庸)과 조화를 상징하며, 국왕이 모든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중심 역할을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근정전이 궁궐의 가장 중요한 의례 공간으로 사용된 것은 이러한 사상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전조후침(前朝後寢)
근정전은 궁궐의 전조(앞쪽의 정치 공간)를, 강녕전은 후침(뒤쪽의 생활 공간)을 나타냅니다.
이는 업무와 일상의 구분을 통해 유교적 질서를 실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3. 풍수지리적 의미


조선시대는 풍수지리 사상을 중시했으며, 경복궁의 설계와 근정전의 위치에도 이를 반영하였습니다.

배산임수(背山臨水):
경복궁은 북쪽의 북악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광화문과 한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근정전은 이러한 배치의 중심에 위치하여 안정된 왕권과 국가의 번영을 상징합니다.

명당의 중심:
경복궁은 조선 건국의 도읍지인 한양(서울)의 명당에 세워졌으며, 근정전은 그 중심에서 하늘(천명)의 기운을 받는 상징적 위치로 자리 잡았습니다.


4. 공간적 상징성

광화문과의 연결
광화문에서 근정전으로 이어지는 직선 축은 왕권의 권위가 백성에게까지 닿는 질서를 나타냅니다.
넓은 근정문 앞마당은 조회와 국가적 행사를 통해 왕과 신하 간의 위계를 시각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왕과 신하의 구분
근정전이 높은 월대(月臺) 위에 위치한 것은 왕과 신하의 위계를 상징적으로 구분합니다.
신하들은 월대 아래에 서서 왕에게 경의를 표하며, 왕은 월대 위에서 하늘과 통하는 존재로 묘사됩니다.

자연과의 조화
근정전 뒤편의 북악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과 인간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조선시대의 건축 미학을 구현합니다.


근정전이 경복궁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조선 왕조의 유교적 통치 철학, 왕권 중심의 질서,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궁궐 중심부에 자리한 근정전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국가의 정치적·문화적 핵심을 담아낸 공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종묘와 사직-역대 조선 왕조와 종묘 알아보기

종묘와 종묘 제례는 어떤 역사적 의미가 있으며, 조선왕조의 종묘와 사직의 역사와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종묘란? 종묘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easyro.tistory.com

경복궁의 유래, 기능, 건물, 위치-수문장 교대 행사 알아보기

조선시대의 최대 궁궐이었던 경복궁의 역사적 유래와 경복궁의 기능 및 수문장 교대행사를 알아보겠습니다.      1. 경복궁의 유래 경복궁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궁궐입

easyro.tistory.com

한복의 유래와 종류, 재질, 한복 보관 방법 및 한복 입는 법 알아보기

한복의 유래와 종류, 재질, 한복입는 방법과 보관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복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정확한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한복의 기원은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시

easyro.tistory.com

 

한옥의 유래와 역사, 건축 문화의 특징 알아보기

한옥의 유래와 역사, 건축문화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전통가옥인 한옥은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은 집으로, 서양식 주택인 양옥에 대비하여 불리는 말입니다.      

easyr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