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와 유래 이야기

한복의 유래와 종류, 재질, 한복 보관 방법 및 한복 입는 법 알아보기

반응형

한복의 유래와 종류, 재질, 한복입는 방법과 보관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복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정확한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한복의 기원은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시대 이전의 고려시대나 백제, 신라 시대부터 이미 한복과 비슷한 형태의 옷이 사용되었습니다.
 

 

 

 

 

 

1. 한복의 유래

 
한복(韓服)은 한국의 전통 의상으로, 그 유래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한복의 기원과 발전 과정은 여러 역사적,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화해왔습니다.

1) 고대 시대: 한복의 가장 초기 형태는 고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시기의 복식은 단순하고 자연스러웠으며, 주로 면과 마를 이용한 직물로 만들어졌습니다.

2) 삼국 시대: 한복의 형태가 점차 구체화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 시대(고구려, 백제, 신라)부터입니다. 고구려의 벽화나 유물에서 당시의 의복 형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저고리와 바지, 치마가 기본적인 구성 요소였습니다.

3)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한복의 디자인과 재질이 더욱 다양화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귀족 계층의 복식은 화려하고 섬세한 자수와 장식이 특징이었습니다.

 

한복




4) 조선 시대: 한복의 형태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 한복으로 정착된 시기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복식이 비교적 간결하고 검소한 편이었으나, 후기에는 복식 문화가 더욱 발달하여 다양한 색상과 문양, 재질이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양반 계층의 한복은 화려하고 정교한 디자인을 자랑했습니다. 남성은 주로 저고리와 바지, 두루마기를 입었고, 여성은 저고리와 치마, 장옷을 입었습니다.

5) 근대 이후: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양식 복장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한복은 점차 일상복에서 예복이나 전통 행사 복장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 전통문화 보존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한복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고,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생활 한복도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한복은 시대와 계층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었지만, 그 기본적인 형태와 아름다움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한복은 한국의 문화와 정체성을 대표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전통 혼례식, 명절, 전통 행사 등에서 널리 입고 있습니다.
 

 

 

 

 

 

2. 한복의 종류

 
한복은 착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1) 일상복 한복
   - 저고리: 상의로, 남녀 모두 착용하며 기본적인 한복의 구성 요소입니다.
   - 치마: 여성 하의로, 저고리와 함께 입습니다.
   - 바지: 남성 하의로, 저고리와 함께 착용합니다.

2) 예복 한복
   - 당의: 여성의 예복으로, 저고리 위에 입는 화려한 겉옷입니다.
   - 당저고리: 당의의 일종으로, 예복에 해당합니다.
   - 노리개: 여성 한복에 장식으로 다는 장신구입니다.
   - 학창의: 학창의는 조선 시대 학자가 입던 예복으로, 흰색 저고리와 검은색 두루마기, 바지로 구성됩니다.

 

3) 혼례복
   - 혼례복(신부): 화려한 저고리와 치마, 족두리, 비녀 등으로 구성됩니다.
   - 혼례복(신랑): 전통 관복 형태로, 저고리와 바지, 두루마기, 띠, 갓으로 구성됩니다.

4) 유아 한복
   - 돌복: 아이의 첫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입히는 한복으로, 화려한 색상과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5) 기타 전통 한복:
   - 두루마기: 저고리 위에 입는 겉옷으로, 외출할 때 주로 착용합니다.
   - 한삼: 소매가 긴 예복으로, 결혼식이나 제사 때 주로 착용합니다.
   - 바지저고리: 남성이 입는 기본적인 한복으로, 저고리와 바지로 구성됩니다.
   - 장옷: 여성들이 외출할 때 쓰는 두건 형태의 외투입니다.

6) 현대 생활 한복
   - 캐주얼 한복: 일상생활에서 편하게 입을 수 있도록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복입니다.
   - 개량 한복: 전통 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착용이 용이하게 만든 한복입니다.

한복은 이처럼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발전해왔으며, 시대와 상황에 따라 그 종류와 스타일이 변해왔습니다.
 
 

 

 

 

 

 

3. 한복을 입는 방법

 

한복을 입는 방법은 구성 요소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한복 착용법을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여성 한복 입는 법

▶속옷 착용: 
   - 속치마: 치마가 자연스럽게 퍼지도록 도와주는 속치마를 먼저 입습니다.
   - 속바지: 속바지를 착용하여 치마의 형태를 잡고 편안함을 높입니다.

▶ 치마 착용: 
   - 치마의 허리끈을 허리 위쪽에서 매고, 남은 끈을 옆구리 부분에 끼워 고정합니다. 치마가 주름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저고리 착용: 
   - 저고리를 입고, 오른쪽 옷고름을 왼쪽 허리 안쪽에 고정합니다. 
   - 왼쪽 옷고름을 오른쪽으로 돌려 매듭을 짓습니다.
   - 고름 매듭을 단정하게 정리합니다.

▶ 덧옷 (필요 시):
   - 당의 또는 두루마기를 입고, 소매를 정리합니다.

▶ 장신구 착용: 
   - 노리개: 고름에 노리개를 단정하게 달아줍니다.
   - 족두리: 혼례복 등 특별한 경우에는 머리에 족두리를 씁니다.
 

한복 저고리

 
 
 
2) 남성 한복 입는 법

▶ 속옷 착용: 
   - 속바지를 착용합니다.

▶ 바지 착용
   - 바지의 끈을 허리 뒤쪽에서 묶고, 남은 끈을 옆구리 부분에 끼워 고정합니다.
   - 바지의 밑단을 정리합니다.

▶ 저고리 착용: 
   - 저고리를 입고, 오른쪽 옷고름을 왼쪽 허리 안쪽에 고정합니다.
   - 왼쪽 옷고름을 오른쪽으로 돌려 매듭을 짓습니다.
   - 고름 매듭을 단정하게 정리합니다.

▶ 덧옷 (필요 시):
   - 두루마기를 입고, 소매를 정리합니다.

▶ 장신구 착용 (필요 시):
   - 갓: 전통 모자인 갓을 착용합니다.
   - 허리띠: 예복 착용 시 허리띠를 둘러줍니다.



3) 일반적인 주의사항

- 고름 매듭: 고름을 단정하게 매어야 전체적인 옷맵시가 좋아집니다.
- 주름 정리: 치마나 바지의 주름을 잘 정리하여 옷이 구김 없이 떨어지도록 합니다.
- 깔끔한 정리: 전체적으로 한복의 각 부분을 단정하게 정리하여 옷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한복은 입는 과정이 조금 복잡할 수 있지만, 차분하게 한 단계씩 따라가면 아름답게 착용할 수 있습니다.

한복 저고리의 고름 매는 법을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고름을 예쁘게 매는 것은 한복의 전체적인 맵시를 살리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4) 고름 매는 법

▶ 고름 준비:
   - 저고리의 오른쪽 고름(짧은 고름)을 왼쪽 허리 안쪽에 고정합니다.
   - 왼쪽 고름(긴 고름)을 오른쪽으로 가져와 매듭을 지을 준비를 합니다.

▶ 기본 매듭 만들기:
   - 긴 고름을 짧은 고름 위로 올려 교차시킵니다.
   - 긴 고름을 아래로 내려 끈 사이로 빼서 한 번 묶습니다.

▶ 매듭 완성:
   - 긴 고름을 반으로 접어 고리를 만듭니다.
   - 짧은 고름을 고리 위로 가져와 한 번 감아 줍니다.
   - 감은 고름의 끝을 밑으로 빼내어 당겨줍니다.

▶ 고름 정리:
   - 매듭을 단단히 고정시키고, 고름의 길이와 모양을 정리합니다.
   - 고름이 좌우 대칭이 되도록 조정하여 예쁘게 늘어뜨립니다.

이 과정을 통해 고름을 단정하고 예쁘게 매면 한복이 더욱 아름답게 연출됩니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몇 번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됩니다.
 
 

한복 -당의(출처/위키백과)

 
 

4. 한복의 재질

 
 
한복의 재질은 계절과 용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재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명주 (비단)
   - 특징: 부드럽고 광택이 있으며,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 용도: 예복이나 특별한 행사에 입는 한복에 주로 사용됩니다. 결혼식, 제례, 궁중 복식 등에 사용됩니다.

2) 모시
   - 특징: 가볍고 통기성이 뛰어나며, 시원한 촉감을 줍니다.
   - 용도: 주로 여름 한복에 사용됩니다. 더운 여름철에도 시원하게 입을 수 있어 일상복이나 외출복으로 적합합니다.

3) 삼베
   - 특징: 거칠고 질긴 재질로 통기성이 좋습니다.
   - 용도: 주로 하복, 특히 장례식에서 입는 상복으로 사용됩니다. 삼베는 통기성이 좋아 여름철에 적합합니다.

4) 면
   - 특징: 부드럽고 흡수성이 좋으며, 피부에 자극이 적습니다.
   - 용도: 일상적인 생활 한복이나 아동용 한복에 주로 사용됩니다. 편안하고 실용적입니다.

5) 옥사
   - 특징: 얇고 가벼우며 반투명한 재질입니다.
   - 용도: 여름철 한복이나 겉옷에 사용됩니다. 시원한 느낌을 주며, 여름에도 쾌적하게 입을 수 있습니다.

6) 공단
   - 특징: 광택이 나고 표면이 매끄럽습니다.
   - 용도: 화려한 느낌을 주어 예복이나 혼례복 등에 사용됩니다.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7) 린넨
   - 특징: 가볍고 통기성이 좋으며, 자연스러운 주름이 특징입니다.
   - 용도: 주로 여름철 생활 한복에 사용됩니다. 시원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8) 합성섬유
   - 특징: 내구성이 좋고, 관리가 용이합니다.
   - 용도: 현대 생활 한복에 사용되며,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하면서도 실용적인 면을 강조합니다.

9) 계절별 재질 선택
- 봄/가을: 명주, 공단, 면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합니다.
- 여름: 모시, 삼베, 옥사, 린넨 등이 주로 사용되며, 통기성이 좋은 재질을 선호합니다.
- 겨울: 두꺼운 명주나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보온성을 높입니다.

이처럼 한복의 재질은 그 용도와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재질들은 한복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며,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하면서도 착용자의 편안함을 고려한 것입니다.


 

 

 

 

 

5.한복을 입는 시기

 
한복은 주로 특별한 행사나 전통적인 명절에 입습니다. 아래는 한복을 입는 대표적인 시기와 경우들입니다:

1) 명절
   - 설날: 새해 첫날을 맞이하여 가족들이 모여 세배를 하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는 날입니다. 이때 한복을 입고 전통을 기립니다.
   - 추석: 한가위라고도 불리며,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명절입니다. 한복을 입고 차례를 지내며 전통을 이어갑니다.

2) 혼례
   - 결혼식: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한복을 입습니다. 또한, 결혼식 후 폐백을 드릴 때도 한복을 착용합니다. 하객들도 종종 한복을 입습니다.

3) 돌잔치
   - 첫돌: 아이의 첫 생일을 기념하는 돌잔치에서 아기와 부모가 한복을 입고 축하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4) 제사
   - 차례와 제사: 조상님께 감사와 존경을 표하는 날인 차례와 제사 때, 전통을 존중하는 의미로 한복을 입습니다.

5) 졸업식과 입학식
   - 입학 및 졸업식: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등에서 졸업식과 입학식 때 한복을 입는 경우가 있습니다.

6) 기타 전통 행사
   - 한복의 날: 한복을 기념하고 보존하기 위한 날로, 전통 의상을 입고 축하하는 행사가 열립니다.
   - 문화재 행사: 전통문화를 기념하거나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에서 한복을 입습니다.

7) 관혼상제
   - 관례(성년식): 전통적으로 성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는 성년식에서 한복을 입습니다.
   - 상례: 장례식에서 유족들이 상복으로 한복을 입기도 합니다.

8) 외국 방문 시
   - 국제 행사: 외국을 방문하거나 국제 행사에서 한국의 전통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한복을 입기도 합니다.

9) 일상 및 현대적 활용
   - 생활 한복: 전통 한복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생활 한복은 일상에서도 편하게 입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일상복으로도 사용됩니다.
   - 특별한 날: 생일, 가족 모임, 친구 결혼식 등 특별한 날에 한복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한복은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시기와 상황에서 그 아름다움과 의미를 기리는 옷으로 착용됩니다.
 
 

 

 

 

 

 

6. 한복 보관방법

 
한국의 조상들은 한복을 보관할 때 옷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한복은 섬세하고 귀한 옷이기 때문에 보관 방법에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 다음은 전통적인 한복 보관 방법입니다:

1) 옷장(장롱)
- 장롱: 한복을 보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나무로 만든 장롱(옷장)을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장롱은 통풍이 잘 되고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약간의 공간을 두고 옷을 보관했습니다.
- 나무 종류: 주로 통기성이 좋은 나무, 예를 들어 소나무나 잣나무로 만든 장롱을 사용했습니다.

2) 보자기
- 보자기: 한복을 보관할 때는 보자기로 싸서 보관했습니다. 보자기는 옷을 보호하고, 먼지와 습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비단이나 면으로 만든 보자기를 사용했습니다.
- 접는 법: 한복을 접을 때는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깔끔하게 접어 보자기에 싸서 보관했습니다.

3) 방충과 방습
- 방충제: 나방이나 해충으로부터 한복을 보호하기 위해 방충제를 사용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쑥이나 장뇌 등을 방충제로 사용했습니다.
- 방습제: 한복은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숯이나 쌀 등을 방습제로 사용했습니다.

4). 햇볕에 말리기
- *햇볕 건조: 주기적으로 한복을 햇볕에 말려 습기를 제거하고 살균 효과를 높였습니다. 이는 곰팡이와 해충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주의 사항: 직접적인 햇볕에 오래 두지 않도록 주의했습니다. 강한 햇볕은 옷의 색을 바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늘에 말리거나 짧은 시간 동안만 햇볕에 노출시켰습니다.

5)옷걸이 사용
- 옷걸이: 현대식 옷걸이가 아닌 전통적인 나무 옷걸이를 사용하여 한복을 보관했습니다. 옷걸이를 사용할 때는 저고리와 바지, 치마 등을 따로 걸어 형태를 유지했습니다.

6) 계절별 보관
- 계절별로 구분: 한복은 계절별로 구분하여 보관했습니다. 여름 한복과 겨울 한복을 따로 보관하여 필요할 때 쉽게 꺼내 입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보관 방법을 통해 한국의 조상들은 한복을 오랫동안 아름답고 상태 좋게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현대에도 전통적인 한복을 보관할 때는 이러한 방법을 참고하여 보관하면 옷을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7. 생활한복의 대중화

 


생활한복이 처음 만들어진 시기는 20세기 후반, 특히 1980년대입니다. 이 시기는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과 편안함을 현대 생활에서도 누리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면서 생활한복이 등장한 시기입니다.

1)  산업화와 서구화의 영향
   - 한국은 20세기 중반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를 겪으면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했습니다. 서양식 의복이 일상복으로 자리 잡으면서, 전통 한복은 점차 특별한 날에만 입는 예복이 되었습니다.

2) 전통문화 보존 운동
   -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전통문화 보존 운동이 활발히 일어났습니다. 이 시기에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생활한복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3) 생활한복의 등장
   - 생활한복은 전통 한복의 복잡한 구조와 착용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도 쉽게 입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디자이너들이 전통과 현대를 조화롭게 결합한 옷을 선보였습니다.

4) 대중화
   -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생활한복은 더욱 대중화되었습니다. 학교 교복, 사무복, 일상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겸비한 옷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5) 현대 생활한복
   - 오늘날의 생활한복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과 편리함을 더해, 다양한 연령대와 상황에서 입을 수 있는 옷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생활한복은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발전하며, 한국인의 일상 속에 전통을 녹여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8. 한국인과 한복문화



한복은 한국인에게 단순한 의복 그 이상으로,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한복이 가지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문화적 정체성
한복은 한국인의 고유한 문화와 역사적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닌 한복은 한국인의 생활 방식, 미적 감각, 그리고 문화적 유산을 반영합니다.

2) 전통과 연속성
한복은 조상 대대로 전해 내려온 전통을 상징합니다. 특별한 날에 한복을 입는 것은 조상들과의 연결고리를 느끼고, 전통을 계승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3) 예의와 격식
한복은 전통 예절과 격식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결혼식, 제사, 명절 등 중요한 행사에서 한복을 입는 것은 그날의 의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며, 예의를 갖추는 방법입니다.

4) 아름다움과 예술성
한복은 그 자체로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양한 색상과 섬세한 문양, 조화로운 디자인은 한국인의 미적 감각을 반영합니다. 특히, 한복의 선과 곡선은 우아함과 자연스러움을 표현합니다.

5) 현대와의 조화
현대에 들어서면서 한복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적인 디자인과 접목된 생활 한복이 등장하면서, 한복은 일상에서도 편안하게 입을 수 있는 옷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새로운 세대에게 전통을 친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6) 가족과 공동체
한복은 가족과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합니다. 명절에 온 가족이 한복을 입고 모이는 것은 단순히 전통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느끼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7) 문화적 자부심
한복은 한국인에게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요소입니다. 국제 행사나 외국에 나갈 때 한복을 입고 나가는 것은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일이며, 이는 자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한복은 한국인의 일상과 전통,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의 핵심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9. 한복의 날

 
한복의 날은 매년 10월 21일입니다. 한복의 날은 한복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 한복을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입니다.

1) 한복의 날 제정 배경
한복의 날은 한복의 전통을 기리고, 국민들에게 한복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높이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또한, 한복의 날을 통해 한복의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 생활 속에서도 한복을 자연스럽게 입을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 한복의 날 행사
한복의 날을 기념하여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립니다. 대표적인 행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한복 패션쇼: 전통 한복과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생활 한복을 선보이는 패션쇼가 열립니다.
- 전시회: 한복의 역사와 디자인을 소개하는 전시회가 개최됩니다.
- 체험 행사: 일반인들이 한복을 입어보고 전통 예절을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립니다.
- 한복 착용 독려: 이 날을 기념하여 학교, 직장, 일상 생활에서 한복을 착용하도록 독려하는 캠페인이 진행됩니다.

3) 한복의 날의 의의
한복의 날은 한복의 역사와 전통을 되새기고, 한국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한복의 미적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전 세계에 한복을 알리는 기회로 활용됩니다.

4) 10월 21일 선택 이유
- '한(한국의)·복(복원)'의 의미: 한복의 날은 '한(한국의)·복(복원)'을 의미하는 10월 21일에 제정되었습니다. 
- 국빈 및 정부 행사와 겹치지 않는 날 선택: 국빈 행사나 정부 행사와 겹치지 않는 날인 10월 21일이 한복의 날로 선택되었습니다.
- '한복의 날'로서의 기억과 의식: 10월 21일이라는 날짜는 한복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 보존하기 위한 특별한 날로서, 사람들에게 쉽게 기억되고 의식되도록 선택되었습니다.

이처럼 한복의 날은 한복의 아름다움과 전통을 기리고 보존하기 위한 날로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복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디자인과 재질도 변화해왔습니다. 한복의 전통은 수천 년간 이어져온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인의 정체성과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중요한 의상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돌고래의 종류와 역사, 돌고래의 지능과 대화법 알아보기

돌고래의 종류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돌고래의 지능 수준이 어느정도이며 돌고래의 의사소통방법은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돌고래란? 돌고래는 포유류에 속하는 해양 생물로,

easyro.tistory.com

 

 

바다의 색이 푸른 이유는 뭘까요?- 바다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초록빛 바닷물- 바다의 색이 푸른 이유는 뭘까요?- 바다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바다가 푸른 이유? 바다의 색이 푸른 이유는 태양빛이 바다 표면에 

easyro.tistory.com

 

 

우기 Wet Season와 건기 Dry Season 의 지역에 대해 알아보기

우기 Wet Season와 건기 Dry Season 란 무엇이며, 우기와 건기가 발생하는 지역과 현상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기와 건기는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easyr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