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댐, 궁궐, 신문, 최초를 기록한 사례 알아보기
우리나라의 역사적 기록의 최초는?
1. 정치
최초의 국가: 고조선 (기원전 2333년경, 단군 왕검 건국)
최초의 여성 국왕: 신라 선덕여왕 (재위: 632~647년)
최초의 삼국 통일: 신라 (676년)
최초의 왕위 세습: 부여, 고구려 등의 초기 왕국에서 확인됨.
최초의 민주적 헌법 제정: 대한민국 제헌헌법 (1948년)
2. 건축/건설
최초의 댐: 충주댐 (1985년 준공, 다목적댐)
최초의 궁궐: 고구려 주몽이 세운 졸본성 (기원전 37년경)
최초의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7세기 초, 백제)
최초의 불교 건축물: 황룡사 (신라, 6세기)
최초의 천문대: 경주 첨성대 (7세기, 신라)
최초의 근대식 호텔: 손탁 호텔 (1902년, 서울)

3. 문화/예술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 (허균, 17세기)
최초의 신문: 《한성순보》 (1883년)
최초의 영화: 《의리적 구투》 (1919년)
최초의 서양식 그림: 고종 시대, 유럽화가 선교사들이 도입
최초의 근대식 극장: 원각사 (1908년)
4. 교육
최초의 학교: 고구려 태학 (372년, 소수림왕)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 이화학당 (1886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전신)
최초의 현대식 대학교: 보성전문학교 (1905년, 현재 고려대학교
5. 경제/산업
최초의 화폐: 고구려와 백제의 철전, 통일신라의 해동통보
최초의 주식회사: 한성전기회사 (1898년)
최초의 철도: 경인선 (1899년, 인천~노량진)
최초의 자동차 생산: 시발 자동차 (1955년)
6. 과학/기술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 《직지심체요절》 (1377년, 고려)
최초의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년, 조선)
최초의 측우기: 세종대왕 시대 발명 (1441년)
최초의 국산 인공위성: 우리별 1호 (1992년 발사)
7. 종교
최초의 불교 수용: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최초의 천주교 수용: 18세기 말 (조선)
최초의 개신교 전래: 1884년, 알렌 선교사에 의해 전래
8. 사회
최초의 민주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국회 의원 선거
최초의 노동조합: 조선직업전동맹 (1920년대)
최초의 여성 참정권: 대한민국 헌법 제정 (1948년)

9. 군사
최초의 통일 군대: 신라 화랑도
최초의 근대 군대: 별기군 (1881년)
최초의 국군 창설: 대한민국 국군 (1948년)
10. 법률/제도
최초의 법전: 고구려의 "율령" (4세기, 소수림왕)
최초의 헌법 제정: 대한민국 제헌헌법 (1948년)
최초의 사법시험 합격 여성: 이태영 (1952년)
11. 교통/인프라
최초의 도로 건설: 삼국시대 고구려의 경관도
최초의 다리: 신라의 월성교 (7세기)
최초의 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1968년)
최초의 지하철: 서울 지하철 1호선 (1974년)
최초의 항공기 이착륙: 여의도 (1913년, 일본 제국군 비행)
12. 의료
최초의 서양식 병원: 광혜원 (1885년, 이후 제중원으로 이름 변경)
최초의 간호사 양성학교: 보구여관 (1887년)
최초의 여성 의사: 박에스더 (졸업: 1900년, 미국 메릴랜드 여성 의과대학)

13. 스포츠
최초의 올림픽 출전: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손기정 마라톤 금메달)
최초의 프로야구 리그: 한국 프로야구 (1982년)
최초의 월드컵 본선 진출: 1954년 스위스 월드컵
최초의 동계올림픽 개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14. 문화/문학
최초의 국문 소설: 《홍길동전》 (허균)
최초의 한글 사전: 《조선말 큰사전》 (1920년대 시작, 1957년 완성)
최초의 국립극단: 국립극장 (1950년 설립)
15. 통신/언론
최초의 라디오 방송: 경성방송국 (1927년, 일본 제국 통치 시기)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 HLKZ-TV (1956년, 한국 방송국)
최초의 인터넷 도입: 1982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ARPANET 연결
16. 과학/기술
최초의 국산 컴퓨터: K-150 (1967년 개발)
최초의 인터넷 도메인 등록: "korea.com" (1995년)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2008년,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 탑승)
17. 국제 외교
최초의 외국과 수교: 신라-당나라 (7세기)
최초의 유엔 가입: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시 가입 (1991년)
최초의 해외 파병: 비둘기 부대 (1964년, 베트남 전쟁)
18. 환경/에너지
최초의 국립공원: 지리산 국립공원 (1967년)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1978년)
최초의 신재생에너지 시설: 대관령 풍력발전단지 (1998년)

19. 여성/사회 활동
최초의 여성 군인: 이화림 (독립운동가, 대한독립군)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 임영신 (1948년)
최초의 여성 대통령: 박근혜 (2013년)
20. 기타
최초의 사찰: 고구려의 초문사 (372년)
최초의 민간 비행기 개발: 부활호 (1953년)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 김대중 (2000년, 평화상)
최초의 고속철도: KTX (2004년)
헌법재판소의 자격, 구성, 기능, 임기, 탄핵소추 절차 알아보기
헌법재판소의 자격, 구성, 기능, 임기, 탄핵소추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유지하고,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최후의 보루로서 중요한 역
easyro.tistory.com
삼권분립, 자유를 지키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 알아보기
삼권분립, 자유를 지키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삼권분립이란? 삼권분립(三權分立)은 국가 권력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정치
easyro.tistory.com
임을 위한 행진곡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 가사, 유래 알아보기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 유래 및 노래의 배경과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사랑도 명예도∼"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노래는 1984년 발매된 민중가요인 입니다. 이 곡은 광
easyro.tistory.com
솟대의 기원, 목적, 형태, 역할 및 유래 알아보기
솟대의 기원, 목적, 형태, 역할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솟대의 유래와 의미 솟대는 삼한(三韓) 시대에 신을 모시던 장소인 소도(蘇塗)에 세워둔 나무 장대를 말합니다.
easyro.tistory.com
'역사와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징어게임 하는 방법, 한국 전통 놀이의 종류와 게임 방법 알아보기 (0) | 2025.01.12 |
---|---|
노무현 대통령의 생애와 업적, 추구했던 가치와 철학적 교훈 알아보기 (0) | 2025.01.12 |
전통 연날리기의 유래와 종류, 만드는 법과 연 날리는 법 알아보기 (0) | 2024.12.26 |
덕수궁의 역사, 구조, 기능, 덕수궁 돌담길 유래 알아보기 (1) | 2024.12.24 |
첫 여성 대통령 박근혜, 탄생에서 탄핵까지의 여정 알아보기 (4)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