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적인 이야기

서킷 브레이커의 유래, 목적, 초기 도입 과정 및 한국의 서킷 브레이커 알아보기

반응형

서킷 브레이커의 유래, 목적, 초기 도입 과정 및 한국의 서킷 브레이커의 운영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 시장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으로 인한 혼란과 패닉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1. 서킷브레이커란?

 

서킷브레이커라는 용어는 전기 회로에서 과부하나 단락으로 인해 전기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 시장에서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주로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투자자들이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는 조건은 나라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지수나 주식의 가격이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할 때 발동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 증시에서는 코스피(KOSPI)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할 경우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어 모든 주식 거래가 일시 중지됩니다. 이는 시장 안정화 조치를 위해 투자자들에게 숨 돌릴 시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서킷 브레이커 제도는 1987년 10월 19일의 '블랙 먼데이'(Black Monday)를 계기로 도입되었습니다. 이 날,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하루 만에 22.6% 하락하는 대규모 주가 폭락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자 했으며, 이후 여러 나라의 주식 시장에서도 비슷한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특정 주가 하락이나 상승이 일정 비율에 도달하면 발동되며, 발동 시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중단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급격한 변동 상황에서 감정을 배제하고 보다 이성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로 기능합니다.

 

 

 

 

2. 블랙 먼데이 이후의 대응

 

1987년 10월 19일의 블랙 먼데이(Black Monday) 이후, 금융 시장의 갑작스러운 폭락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와 제도들이 도입되었으며, 주요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킷브레이커 제도 도입: 주식 시장에서 일정 비율 이상의 급격한 가격 변동이 발생하면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블랙 먼데이 이후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도입하여 주가 폭락 시 투자자들이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프로그래매틱 트레이딩 규제: 블랙 먼데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프로그램 매매(Programmatic Trading)의 무분별한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규제가 강화되었습니다. 이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해 자동으로 대량 매매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매매가 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시장 감시 시스템 강화: 시장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여 이상 거래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투자자 교육 및 정보 제공 강화: 투자자들에게 시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 관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투자자들이 보다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유동성 공급 장치 강화: 중앙은행과 금융 당국은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금융 위기가 실물 경제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향후 유사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시장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블랙 먼데이 이후 도입된 제도와 규제들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보완되면서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3. 초기 도입과 확산

 

초기 도입
1987년 블랙 먼데이 이후 미국에서의 도입:

거래 중단 기준과 시간 설정:

예를 들어,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10% 하락하면 1시간 동안 거래를 중단하고, 20% 하락하면 2시간 동안 거래를 중단하며, 30% 하락하면 하루 종일 거래를 중단하는 등의 기준이 설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거래 중단 시간은 투자자들이 급격한 시장 변동 상황에서 냉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다른 국가로의 확산:

미국에서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도입된 이후, 다른 주요 국가들도 이를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각국의 증권거래소는 자국 시장의 특성에 맞게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도입하고, 시장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유럽과 아시아 시장:

유럽과 아시아의 주요 증권거래소들도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도입하여,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도쿄증권거래소(TSE)와 홍콩의 홍콩증권거래소(HKEX) 등도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제도 개선과 조정: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도입 이후 여러 차례 개선과 조정을 거쳤습니다.
시장 상황과 경험을 바탕으로 거래 중단 기준과 시간을 조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시장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현대 서킷브레이커 제도


현대의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주가 지수뿐만 아니라 개별 주식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감지하여 거래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S&P 500 지수가 특정 비율(예: 7%, 13%, 20%) 이상 하락할 경우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초기 도입과 확산 과정을 통해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글로벌 금융 시장의 중요한 안전장치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는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보다 신중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4. 한국의 서킷 브레이커

 

한국의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 보호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한국의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설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과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도입 배경
1997년 외환위기: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자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안정성 강화: 주식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이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2) 운영 방식
서킷브레이커는 KOSPI(코스피)와 KOSDAQ(코스닥) 시장에서 모두 적용됩니다. 주식 시장의 전체 지수가 일정 수준 이상 하락하면 발동되며, 구체적인 기준과 중단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KOSPI 및 KOSDAQ 시장


1단계 서킷브레이커:

발동 기준: KOSPI 또는 KOSDAQ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할 경우.
중단 시간: 20분 동안 모든 주식의 거래가 중단됩니다.
재개 시점: 20분 후 거래가 재개되며, 만약 14시 20분 이후에 발동되면 당일 장 종료 시까지 중단됩니다.


2단계 서킷브레이커:

발동 기준: KOSPI 또는 KOSDAQ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5% 이상 하락할 경우.
중단 시간: 20분 동안 모든 주식의 거래가 중단됩니다.
재개 시점: 20분 후 거래가 재개되며, 만약 14시 20분 이후에 발동되면 당일 장 종료 시까지 중단됩니다.


3단계 서킷브레이커:

발동 기준: KOSPI 또는 KOSDAQ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20% 이상 하락할 경우.
중단 시간: 당일 장 종료 시까지 모든 주식의 거래가 중단됩니다.

 

 

 

 


변동성 완화 장치 (VI, Volatility Interruption)


서킷브레이커와 함께 개별 주식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 변동성 완화 장치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특정 주식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할 경우 해당 주식의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발동 기준: 주가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급격히 변동할 경우.
중단 시간: 2분 동안 해당 주식의 거래가 중단됩니다.
재개 시점: 2분 후 거래가 재개됩니다.


목적과 효과


시장 안정화: 서킷브레이커와 변동성 완화 장치는 주식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상황을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제공합니다.


투자자 보호: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으로 인한 투자자들의 손실을 줄이고, 시장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한국의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주식 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조정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주식 시장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안전장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5. 서킷 브레이커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서킷 브레이커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긍정적 영향

 

- 시장 안정화: 서킷 브레이커는 시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고 과도한 공포와 패닉 셀링을 막아줍니다.


-  투자자 보호: 투자자들이 급격한 시장 변동에 의한 손실을 줄이고, 더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합니다.


-  유동성 확보: 일시적인 거래 중단은 시장 참가자들이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전략을 재조정할 시간을 제공해, 이후 거래 재개 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정보 확산: 시장 급락 시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이고 투자자들에게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시간을 줍니다.

2) 부정적 영향


- 시장 왜곡: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면 시장의 자정 기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인위적인 개입이 시장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투자 심리 악화: 서킷 브레이커의 빈번한 발동은 투자자들에게 시장의 불안정성을 부각시켜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거래 기회 상실: 일시적인 거래 중단은 특정 주식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 기회를 놓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장기적 해결 부족: 서킷 브레이커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급락을 막을 수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근본적인 경제 문제나 기업의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고려하여 서킷 브레이커 제도가 설계되고 운영됩니다. 목표는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거래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입니다.


 

 

 

퇴직금 계산기-지급 기준, 계산 방법, 지급 시기, 퇴직 연금 수령 방법과 절차 알아보기

퇴직금 계산기- 지급기준, 계산방법, 지급시기, 퇴직연금 수령방법과 절차, 비정규직 근로자도 퇴직금을 받을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이란, 지속적인 일을 한 근

easyro.tistory.com

 

 

부동산 대출한도 DSR 뜻, 규제, 한도, 계산하는 법, 스트레스 DSR 알아보기

부동산대출 한도 DSR 뜻, 규제, 한도, 계산하는 법, 스트레스 DS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란? DSR(Debt Service Ratio)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뜻하는 용어로, 돈을 빌

easyro.tistory.com

 

 

화산의 기원과 용암, 마그마, 화산의 종류 알아보기

화산의 기원과 용암, 마그마, 화산의 종류를 알아보고, 역사상 최대의 화산, 베수비오 화산폭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화산이란? 화산은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나와 분출하는

easyr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