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개혁과 보수의 갈림길-쇄국정책의 내용과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흥선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로, 대한제국의 추존왕입니다.
1) 흥선대원군의 생애
1820년 조선 왕조의 왕족으로 태어났습니다. 서화에 능했으며, 특히 난초를 잘했다고 전해집니다.
본명은 이하응(李昰應)이며, 영조의 현손 남연군 이구 (南延君 李球) 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제 26대 왕 고종의 아버지입니다.
12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17세 때에는 아버지를 여읜 뒤 불우한 청년기를 보냈으나, 1843년(헌종 9) 흥선군에 봉해졌습니다.
이후 안동 김씨가 세도권을 잡고 왕실과 종친에 갖가지 통제와 위협을 가하자, 호신책으로 시정의 무뢰한들과 어울려 지냈으며, 안동 김씨 가문에 원한을 품고 있던 조대비의 조카 조성하와 친교를 맺고, 조대비에게 접근하여 장차 후계자 없이 돌아갈 철종의 왕위 계승자로 그의 둘째 아들 명복을 지명하기로 묵계하였습니다.
1863년 12월 초 철종이 사망하자 조대비는 12세인 고종을 왕위에 오르게 하고, 흥선군은 흥선대원군으로 봉하여졌으며, 조대비로부터 섭정의 대권을 위임받아 국정을 처리하게 되었습니다.
고종과 흥선대원군의 관계는 매우 복잡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고종의 아버지로서, 고종의 성장과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고종은 성인이 된 후에는 자신의 독립성을 주장하며, 흥선대원군의 정책에 대해 반대하거나 비판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둘은 부자관계이지만, 정치적으로는 서로 대립하기도 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고종의 즉위 초반에는 섭정을 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고종은 독자적인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갑신정변과 같은 사건을 통해 조선 내부의 개혁과 외교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고종의 노력은 끊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과 고종의 개화정책이 부딪히면서 갈등이 빚어진 적도 있었으며, 고종은 흥선대원군을 정치적으로는 완전히 고립시키려 한 적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흥선대원군의 업적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세도 정치의 종식, 경복궁 중건, 서원 철폐, 통상 수교 거부 등이 있으며, 이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러나 그의 정책들은 일부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다른 일부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경복궁 중건은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민중의 고통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주요 업적
- 세도 정치의 종식
안동 김씨를 비롯한 세도 가문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 경복궁 중건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자 했습니다.
- 서원 철폐
지방 사족들의 힘을 약화시키고 국가 재정을 안정시키려 했습니다.
- 통상 수교 거부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통상 수교를 거부하는 강력한 쇄국 정책을 펼쳤습니다.
2. 세도정치 종식
세도정치(勢道政治)는 국왕이 아닌 특정 인물과 그 추종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여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말합니다. 원래 세도정치라는 개념은 '정치는 널리 사회를 교화시켜 세상을 올바르게 다스리는 도리'라는 사림파의 통치이념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세도정치는 그러한 이상적인 정치 도리와는 거리가 멀어졌습니다. 대신, 척신이나 총신이 강력한 권세를 휘두르며 조정을 지배하고, 왕권은 형식적인 존재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에 세도정치가 자리 잡은 배경에는 왕권의 약화와 조정 내 파벌 간의 갈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정조 사후, 어린 순조가 즉위하면서 정치적 권력의 공백이 생겼고, 이를 틈타 순조의 외척인 안동 김씨 가문이 권력을 잡게 되었습니다.
이후 안동 김씨를 비롯한 여러 가문들이 차례로 권력을 독점하며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 후기의 정치 상황은 특정 가문 중심의 권력 독점과 부패, 무능으로 점철되었습니다.
세도정치 시기에는 국왕이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며, 실제 권력은 세도가문에 의해 행사되었습니다. 이는 조정의 부패와 무능을 야기했으며 민중의 불만이 커지면서, 저항의식이 고양되었습니다. 이는 이후 독립운동과 사회 개혁 운동의 기초가 되는 요소로 작용하였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를 종식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등의 세도가문을 제거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흥선대원군은 경복궁 중건, 서원 철폐, 호포제 실시 등의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를 비롯한 세도 가문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함으로써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회복하려 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국에 난립한 서원(書院)을 대대적으로 철폐하여, 지방 사족들의 힘을 약화시키고 국가 재정을 안정시키려 했으며, 비변사를 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를 부활시켜 행정권과 군사권을 분리하였습니다.
3. 경복궁 중건
경복궁 중건(景福宮 重建)은 조선(朝鮮) 시대 말기 수렴청정을 하였었던 신정왕후(神貞王后)에게서 지시를 받은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君 李昰應)이 정원용(鄭元容), 조두순(趙斗淳), 이경재(李景在), 김병학(金炳學) 등 4명의 역대 영의정(領議政)들과 야합하여 1865년(고종 2년)부터 1872년(고종 9년)까지 행한 궁궐 중건입니다.
세도정치로 말미암아 왕실의 위신이 떨어진 조선 말기에 고종이 즉위하자 정권을 잡게 된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존엄성을 천하에 과시하여 중흥(中興)의 기세를 높이고자 임진왜란 때 타버린 경복궁의 중건을 착수했습니다.
경복궁 중건을 흥선대원군이 지휘함으로써 약9년여의 권력(섭정)을 장악하게 됩니다.
그러나 경복궁 중건의 비용이 많이 나와 이유원(李裕元)과 최익현(崔益鉉) 등에게 통렬히 경고 및 비판 등을 받으며 결국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君 李昰應)은 1873년 권불십년(權不十年)처럼 섭정 권좌에서 9년여만에 물러나게 됩니다.
4. 서원철폐
흥선대원군은 유교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국가 재정과 군역, 당쟁의 폐단이 서원이라고 생각하고 집권 직후부터 서원에 대한 개혁을 지속하였습니다. 서원이 정치적 세력으로 작용하면서 백성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마침내 1871년 5월 9일(고종 8년 음력 3월 20일) 흥선대원군은 지방 곳곳에 양반의 근거지로 남설(濫設)된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서원에 대해 일대 정리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를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이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47개의 서원을 제외한 수백여 개의 서원이 훼철되었습니다.
서원 철폐의 결과, 많은 서원을 철폐함으로써 중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백성들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했으나 일부 유학자들의 반발을 샀습니다.
5. 외세침략과 쇄국정책
흥선대원군은 1863년부터 1873년까지 약 10년간 섭정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업적으로는 쇄국정책을 들 수 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서양 열강의 통상 요구에 대해 천주교 신자들을 박해하는 "병인박해"를 일으키고, 프랑스와의 전쟁인 "병인양요", 미국과의 전쟁인 "신미양요" 등을 통해 강력한 쇄국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이러한 쇄국정책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 조선의 전통 문화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천주교 탄압
병인박해를 일으켜 프랑스 선교사와 천주교 신자들을 박해하였습니다.
외세의 침입 대응
병인양요(프랑스), 신미양요(미국) 등의 외세의 침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물리쳤습니다.
척화비 건립
전국에 척화비를 세워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널리 알렸습니다.
이러한 쇄국정책은 조선의 전통 문화를 지키는 데에는 기여했으나, 국제적인 흐름에 뒤처져 조선의 근대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후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조약" 체결을 시작으로 조선의 대외개방이 본격화되면서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막을 내리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조선의 역사상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동시에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역사적 사건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6. 병인양요, 신미양요
병인양요가 일어난 이유는 조선이 천주교를 탄압하고, 프랑스 선교사와 천주교 신자들을 박해한 것에 대한 프랑스의 보복 때문입니다.
병인박해
1866년 흥선대원군이 프랑스 선교사와 천주교 신자들을 박해한 사건입니다. 병인박해는 조선의 천주교 탄압과 외세의 침략으로 이어져 조선의 국방력 강화와 서양 문물 수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로즈 제독의 조선 침략
병인박해로 인해 프랑스 선교사가 사망하자, 이에 분노한 프랑스의 로즈 제독이 조선을 침략하였습니다.
병인양요
프랑스가 병인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조선의 강화도를 공격한 사건입니다. 조선의 천주교 탄압과 프랑스 선교사의 죽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사건으로 조선의 국방력 강화와 서양 문물 수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너럴셔먼호 사건
병인박해 이후 발생한 사건으로,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평양에서 통상을 요구하다 거절당하자 조선 관군과 충돌하여 침몰한 사건입니다.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입니다.
신미양요
1871년(고종 8년) 미국이 조선의 강화도를 공격한 사건으로, 병인양요 이후에도 조선의 천주교 탄압과 외세의 침략이 계속되자 미국이 조선을 압박하기 위해 강화도를 공격한 사건입니다.
조선에서는 신미양요라 불리지만, 미국에서는 Korean Expedition 혹은 1871년 미국-조선 전쟁 등으로 불립니다. 이 사건은 조선의 쇄국 정책과 미국의 통상 요구가 충돌하면서 발생한 무력 충돌로, 특히 강화도에서의 전투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신미양요의 원인은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1866년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통상을 요구하며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평양에서 조선 군민의 공격을 받아 침몰한 사건입니다.
이에 미국은 1871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며 강화도에 함대를 보내 공격하는 신미양요를 일으켰습니다.
당시 조선은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며 서양과의 통상을 거부하는 쇄국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기에 미국의 통상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신미양요 결과, 조선은 외교 정책을 재검토하게 되었으며, 이후 열린 외세의 개항 요구에 서서히 응하게 됩니다. 또한 조선의 방어 체계와 군사력의 한계가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7. 흥선대원군의 정치가 실패한 이유
흥선대원군의 정치가 실패한 가장 큰 이유는 그의 개혁 정책이 일부 사람들에게는 지지를 받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반대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의 개혁 정책이 너무 급진적이거나,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우군 세력을 철저히 단속하지 못한 불철저함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해 줄 우군 세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자신의 지지 기반이 취약해져 아들인 고종으로부터 외면받게 되어 권력을 잃게 되었습니다.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지 못함
조선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중시하여 서양의 문물을 배척하는 쇄국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조선의 근대화를 지연시키고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어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개혁의 주체 세력을 형성하지 못함
개혁을 추진할 만한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소홀했습니다. 이로 인해 개혁을 이끌어 나갈 주체 세력이 부족해져 개혁이 좌초되었습니다.
실패한 정치이지만 조선의 자주성을 지키고 외세의 침략을 막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습니다.
조선 성종의 생애와 업적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알아보기
조선 성종의 생애와 업적-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동국여지승람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성종의 생애와 재위기간 조선 성종은 조선의 제9대 왕으로, 1469년부터 1494년까지 재위했습니
easyro.tistory.com
열대야의 원인과 영향 및 대처방법, 최근 열대야가 심각해지는 이유 알아보기
열대야의 원인과 영향 및 대처방법, 최근 열대야가 심각해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열대야의 원인과 영향 열대야는 밤 동안의 최저 기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어, 사람
easyro.tistory.com
블랙먼데이의 원인, 영향-금융 시장의 검은 월요일 알아보기
블랙먼데이의 원인, 영향-금융 시장의 '검은 월요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랙 먼데이(Black Monday)는 1987년 10월 19일에 일어난 주식 시장 붕괴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날, 전 세
easyro.tistory.com
'역사와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을 세운 혁명가, 태조 이성계와 위화도 회군 알아보기 (2) | 2024.09.10 |
---|---|
사격의 유래와 역사, 올림픽 사격 경기 방법 및 규칙 알아보기 (5) | 2024.09.08 |
실학의 선구자, 다산 정약용의 생애 및 업적- 목민심서, 경세유표 알아보기 (1) | 2024.08.25 |
판소리의 유래, 형태와 특징, 판소리 다섯 마당 알아보기 (0) | 2024.08.23 |
불고기의 유래와 변천사, 불고기 먹는 법, 한국의 맛을 찾아보기 (0)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