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어류학의 보물,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집필하게 된 계기, 어류도감의 구성과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 어류도감- 자산어보
정약전의 자산어보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양 생물학 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책은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바다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생물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자산어보(玆山魚譜)는 조선 시대 후기인 1814년(순조 14), 정약용의 형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이 저술한 해양생물학, 수산학 서적입니다.
총 3권 1책 구성으로, 흑산도 근처에 분포하는 200여 종의 물고기와 바다 생물이 수록되어 있으며, ,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와 해산물들의 명칭, 모양, 크기, 습성, 맛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항목마다 그림을 첨부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당시 중국의 문헌이나 옛 서적에만 의존하던 어류 지식을 직접 관찰하고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해양생물 자원의 가치를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약전 자필의 원본은 현존하지 않고 실전되어 현재는 3권 1책의 필사본만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정약전에 대해서>
정약전(丁若銓, 1758년∼1816년)은 조선 후기의 문관, 실학자, 저술가이자 생물학자로, 정약용의 형입니다.
1790년(정조 14년) 증광별시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신유박해(辛酉迫害)로 인해 흑산도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정약전의 고향은 전라도 나주군 남평현(南平縣)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그러나 그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가족 모두가 흑산도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하였으며, 이후에도 주로 흑산도 인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정약전은 신유박해(1801년) 당시 천주교도인이라는 이유로 유배형을 받았습니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에서 죽을 때까지 혼자 살도록 처벌하는 절도안치라는 종신형으로 흑산도에 오게 되었습니다.
이후 정약전은 흑산도 남동쪽 사리마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후학을 양성하는 사촌서당을 꾸렸고, 섬 주민 장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했습니다.
그의 유배지 였던 흑산도(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연안 어족(魚族)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어보(魚譜)로서, '흑산어보'가 아니라 '자산어보'라 한 까닭은 '흑산'의 '검을 흑(黑)' 자에 나쁜 의미가 있으므로 피했다고 합니다.
그의 동생인 정약용과는 달리 정치보다는 학문 연구에 주력하였으며, 유배생활 중에도 마을 아이들을 모아 교육을 하는 등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영화 자산어보>
정약전은 신유박해로 인해 흑산도로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 바다 생물에 매료되어 책을 쓰기로 합니다. 이에 바다를 훤히 알고 있는 청년 어부 창대에게 도움을 구하며, 서로의 지식을 거래하자고 제안합니다. 티격태격하면서도 점차 서로의 스승이자 벗이 되어 가며, 창대가 출세하기 위해 공부에 매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정약전은 크게 실망합니다.
영화 <자산어보>는 이러한 정약전과 창대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사회 모습과 인물들의 성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자산어보의 구성과 내용
자산어보에 따르면 흑산도 근해에는 다음과 같은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인류 (鱗類 : 비늘이 있음 )와 무린류 (無鱗類 : 비늘이 없음 ), 개류 (介類 : 딱딱한 껍질을 가짐 ), 잡류 (雜類 : 물고기가 아니지만 물에 사는 생물 )로 분류하여 총 155종의 생물을 설명했습니다. 잡류는 해충(海蟲 : 바다 벌레 ), 해금(海禽 : 바다 새 ), 해수(海獸 : 바다 짐승 ), 해초(海草 : 바다 풀 )로 다시 나뉩니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당시까지 동양 최고의 박물지인 이시진의 《본초강목》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생물군을 찾아내고 좀 더 구체적으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우수했습니다.
인류
비늘이 있는 물고기로, 조기, 갈치, 홍어 등이 포함됩니다.
무린류
비늘이 없는 물고기로, 문어, 오징어, 상어 등이 포함됩니다.
개류
딱딱한 껍질을 가진 생물로, 전복, 굴, 홍합 등이 포함됩니다.
잡류
물고기가 아닌 물에 사는 생물로, 미역, 다시마, 새우 등이 포함됩니다.
총 155종의 생물이 등장하며, 이들의 이름을 한자로 적고, 발음을 음차해 적었습니다. 또 모양, 크기, 습성, 맛, 쓰임새, 분포 등도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와 해산물들의 명칭, 모양, 크기, 습성, 맛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각 항목마다 그림을 첨부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18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흑산도
흑산도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한 섬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 유적지로 유명합니다.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약 92km 떨어져 있습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있는 우리나라 최서남단 해역에 위치한 섬으로 바닷물이 푸르다 못해 검다해서 흑산도라 불립니다.
고려 초기에 흑산현(黑山縣)이 되며 나주목에 편입되었고, 고려 말기에 공도 정책으로 옛 영산포읍으로 이주되었다 조선 초기에 재이주하였고, 이후에 면리제가 도입되면서 나주목 흑산면(월경지)이 되었습니다.
남북국 시대인 828년에 장보고가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고 이 곳에 성을 쌓으면서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조선 숙종 때는 흑산진이 설치되는 등 서남해안의 국방 기지였습니다. 신안군에 편입된 것은 1969년입니다.
흑산도의 면적은 19.7km2이며, 인구는 2021년 기준으로 1,764명입니다. 섬 전체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근의 홍도, 다물도, 대둔도, 영산도, 장도, 가거도, 만재도, 태도 등과 함께 흑산군도를 이루고 있습니다.
천주교 신자인 정약전이 신유박해로 이 곳에 유배되어 오랫동안 머물면서 자산어보를 쓴 사실은 잘 알려져 있고, 조선 말기의 유학자 최익현도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했습니다. 최익현과 정약전의 유적지가 남아 있으며, 장보고가 쌓았다는 전설이 있는 상라산성은 전라남도 지정 문화재입니다.
동쪽 끝의 자존심-독도의 유래와 생태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동쪽 끝의 자존심-독도의 유래와 생태까지 독도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수 있게 알아보았습니다. 독도(獨島)'는 '홀로 있는 섬'이라는 뜻으로, 울릉도 주민들이 예로부터 부른 이름입니다.조선
easyro.tistory.com
서대문형무소의 역사와 의미, 건물 구조, 역할 및 영향 알아보기
서대문형무소의 역사와 의미, 건물 구조, 역할, 서대문형무소가 미친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대문형무소: 역사와 의미 서대문형무소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대
easyro.tistory.com
삼풍백화점 붕괴 자리, 위치, 생존자, 사고 원인과 결과 알아보기
삼풍백화점 붕괴자리, 위치, 생존자, 사고 원인과 당시의 대처 및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1. 삼풍백화점의 당시 상황삼풍백화점은 1990년 개장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서울 서초구에서 가장 인기
easyro.tistory.com
경복궁 수문장의 뜻, 유래 역할, 수문장 교대행사의 역사 알아보기
경복궁 수문장의 뜻, 유래 역할, 수문장 교대행사의 역사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복궁 수문장의 뜻과 유래 1. 수문장의 뜻수문장(守門將)은 '문을 지키는 장수'라는 뜻
easyro.tistory.com
'역사와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신화와 역사가 공존하는 민족의 영산-유래, 상징, 현재와 미래 알아보기 (3) | 2025.05.19 |
---|---|
조선후기 인플레이션 이야기, 당백전의 발행 배경과 영향 알아보기 (0) | 2025.05.18 |
신라의 골품제도: 고대 한국 사회를 지배한 신분 질서의 핵심 (0) | 2025.05.05 |
우리나라 국보 1호~10호의 지정 시기, 사유와 특징 알아보기 (0) | 2025.05.04 |
걸어서 국토를 그린 남자, 김정호의 생애와 업적, 대동여지도의 제작 기술과 가치 알아보기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