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와 유래

동쪽 끝의 자존심-독도의 유래와 생태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반응형

동쪽 끝의 자존심-독도의 유래와 생태까지 독도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수 있게 알아보았습니다.

 

 

독도(獨島)'는 '홀로 있는 섬'이라는 뜻으로, 울릉도 주민들이 예로부터 부른 이름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우산도(于山島) 또는 삼봉도, 가지도, 석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동쪽 끝, 대한민국의 자존심 - 독도



대한민국의 가장 동쪽, 동해의 푸른 바다 위에 우뚝 솟아 있는 작은 섬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 땅, 독도입니다.

독도는 단순한 섬이 아닙니다. 역사, 생태, 경제, 안보적인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자랑스러운 영토입니다.
이 글에서는 독도의 유래와 역사, 지리 정보, 생태계, 그리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독도의 가치를 하나씩 소개해드릴게요.


 

 

 

 

 


1. 독도는 언제부터 우리 땅이었을까? - 유래와 역사



독도는 예로부터 우산도라 불리며 우리 역사 속에 꾸준히 등장해왔습니다.

- 512년, 신라 지증왕 때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울릉도, 독도)을 정복

- 15세기 『세종실록지리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로 명시

- 1696년 안용복 사건: 조선 어민 안용복이 일본의 침탈에 대응하여 독도는 조선 땅임을 주장

-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독도를 울도군의 관할로 공식 명시

-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 중 (경비대 상주, 등대, 헬기장 등 설치)



 

 

 

 

 


2. 독도는 어디에 있을까? - 위치와 지리 정보



- 위치: 동해 한가운데,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7.4km 떨어진 곳

- 면적: 약 187,554㎡ (축구장 약 26개 크기)

- 구성: 동도, 서도 그리고 89개의 부속 암초로 이루어짐

- 행정구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독도는 약 460만 년 전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화산섬이에요. 지질학적으로도 희귀하고 중요한 장소죠.


 

독도



독도에는 누가 살고 있을까? - 생태계 탐방

 


<식물>

척박한 환경이지만, 독도까치수염, 갯제비쑥, 갯장구채 등 희귀 식물이 자생


도깨비쇠고비
독도의 자연환경에 최적화된 분류군으로서 앞으로도 독도를 상징하는 식물로 알려져있습니다. 


땅채송화
독도의 자연환경에 잘 적응한 분류군으로 독도의 자생식물로 알려져있습니다.


해국
독도의 자연환경에 잘 적응한 분류군으로 독도의 자생식물로 알려져있습니다.


사철나무, 왕호장근, 섬괴불나무, 동백나무, 보리밥나무등 5분류군의 목본 식물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독도에 사는 동물>

강치
동해바다의 연안에서 서식하는 물갯과의 동물로 과거 독도 부근에서 많이 볼 수 있었지만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의 어부들이 남획하여 멸종되었습니다. 


딱새, 바다제비, 괭이 갈매기
독도의 넓은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동물로, 딱새는 몸길이가 약 14cm의 작은 새입니다. 


특히 유명한 것은 괭이갈매기!
매년 수천 마리가 이곳에서 번식하며 하늘을 수놓아요.

 

 

 

 

 


<해양 생물>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지역이라 어종이 풍부하고, 오징어, 가자미, 전복, 소라, 미역, 다시마 등 해산물이 넘쳐납니다.

테트라셀미스 마리나
독도 해역에서 탐사를 진행하던 중 발견된 미세조류로 오메가3 지방산과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독도얼룩망둑
독도 연안에 서식하는 물고기로 단백질과 미네랄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독도 연안에는 연체동물 40종, 환형동물에 속하는 갯지렁이류 26종, 절지동물에 속하는 갑각류 55종 등 총 157종의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독도는 누가 지키고 있을까? - 실효적 지배

 

 

독도에는 약 2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에는 김신열 씨와 독도 경비 대원, 등대 관리원, 울릉군청 독도 관리 사무소 직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전에는 고 최종덕 씨가 1965년 3월부터 최초로 거주하였으며, 이후 김성도 씨가 함께 거주하다 2018년 10월에 별세하였습니다. 

독도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최근에는 관광객들에게 상품을 판매한 소득에 대해 국세를 납부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독도의 자연환경 보호와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도경비대 상주

기상관측소, 등대, 헬기장 등 주요 시설 존재

독도 주민: 김신열 씨가 현재 독도에 주소를 두고 살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인도 사전 신청 후 관광선을 통해 독도 방문이 가능해요. 실제로 보는 독도는 정말 감동적이죠!


 

 

 

왜 독도가 중요할까? - 의미와 가치



독도는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역사적 가치
한국의 기록에 따르면, 독도는 고대부터 한국 영토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문헌에서도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명확하게 언급한 바 있습니다.


국제법적 가치
국제법상, 영토 분쟁은 각국의 영토 주권을 지지하는 역사적, 법적 근거에 따라 해결됩니다. 독도는 한국이 명백히 역사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지역으로, 국제 사회에서도 한국의 주권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가치
독도 주변 해역은 매우 풍부한 자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독도 인근 해역은 어족 자원이 풍부하여, 한국의 어업 활동에 중요한 지역입니다. 또한, 독도 근처의 해저에는 천연가스와 같은 자원이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 되면서, 그 경제적 가치는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환경적 가치
독도는 동해의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입니다. 섬 주변의 깨끗한 환경은 관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독도의 독특한 생태계와 역사적 중요성이 결합되어 많은 사람들이 꼭 방문 해야 할 곳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12
참고정보

 

 

 

 

 




우리 땅 독도, 우리가 지켜야 합니다



작은 섬이지만, 독도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혼이 깃든 땅입니다.
독도는 대한민국의 자존심이자, 세계에 떳떳이 내세울 우리의 영토입니다.

여러분도 지금 이 순간, 독도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바로 우리가 독도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지글지글 찌짐의 향기, 한국 전통 전(煎)의 유래와 매력 알아보기

지글지글 찌짐의 향기, 한국 전통 전(煎)의 유래와 찌짐의 매력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전(煎)과 찌짐은 오래된 전통 음식으로, 다양한 재료를 밀가루 반죽과 함께 부쳐 먹는 요리입니다.

easyro.tistory.com

 

신문고제도의 유래와 운영방식, 한계 및 국민신문고 알아보기

신문고제도의 유래와 운영방식, 신문고제도의 한계와 현대의 국민신문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문고(申聞鼓) 제도는 조선 시대에 백성들이 억울한 일을 직접 왕에게 호소할 수 있도록 마

easyro.tistory.com

 

을사조약(을사늑약)의 원인, 배경, 과정, 결과와 영향 알아보기

을사조약(을사늑약)의 원인, 배경, 과정, 조약의 결과와 영향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을사조약(1905년)은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일본에

easyro.tistory.com

 

삼풍백화점 붕괴 자리, 위치, 생존자, 사고 원인과 결과 알아보기

삼풍백화점 붕괴자리, 위치, 생존자, 사고 원인과 당시의 대처 및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1. 삼풍백화점의 당시 상황삼풍백화점은 1990년 개장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서울 서초구에서 가장 인기

easyro.tistory.com

 




반응형